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신고가거래 속

“대출만 가능하면 최고가에도 집을 산다.” 이 말, 요즘 부동산 시장에서 진짜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당일, 서울과 수도권 곳곳에서 역대 최고가 거래가 줄줄이 터졌다는 소식입니다.
실수요자들은 왜 이렇게 서둘렀을까요? 지금 바로 이번 사태의 핵심을 정리해드립니다.

 

 

 

 

10·15 대책 핵심 요약


2025년 10월 15일 정부는 부동산 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아래와 같은 **강력한 대출 규제 조치**를 발표했습니다.

  • 서울 25개구 + 경기 12개 지역 = 규제지역 지정
  • 무주택자 LTV 최대 70% → 40%로 축소
  • 유주택자는 주담대 전면 금지
  • 시가 15억 이하: 최대 6억 대출
    15~25억: 최대 4억 / 25억 초과: 최대 2억

이 규제는 10월 16일부터 적용됐기 때문에, 실수요자들은 하루 전인 15일에 몰려들어 신고가 계약을 체결한 것입니다.



실수요자의 '패닉바잉', 어디서 터졌나?


정부의 대출 규제 전날, 서울과 수도권 곳곳에서 역대 최고가 거래가 쏟아졌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 / 단지 전용면적 거래일 거래가 상승폭
서울 양천구 래미안목동아델리체 59.82㎡ 10월 15일 15억5천만 원 +1억3천만 원 (3개월)
서울 광진구 자양9차 현대홈타운 82.56㎡ 10월 15일 18억 원 +3억 원 (4개월)
서울 성동구 왕십리자이 59.99㎡ 10월 15일 15억5천만 원 신고가 경신
경기 과천 래미안슈르 84.95㎡ 10월 15일 21억9천만 원 신고가
경기 성남 서현 시범한양 84.99㎡ 10월 15일 19억8천만 원 +1.6억 (한 달)


왜 신고가 거래가 쏟아졌을까?


핵심은 단 하나, “대출이 오늘까지만 가능하다”는 급박함 때문입니다.
실수요자들은 6억까지 대출 가능한 마지막 날, 규제를 피하기 위해 가격 협상 없이 매수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계약서 쓰고 바로 은행으로 달려가 **잔금용 대출 실행** ▶ 일부 매수자는 ‘금요일 계약 – 월요일 대출 규제’ 사이 **주말까지 갭투자 계약 시도** ▶ 규제지역 지정 직전이라 **지자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전 몰리기**

이로 인해 매도자가 가격을 높여도 협상 없이 바로 계약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며 신고가 행진이 이어졌습니다.



부동산 투자자들은 어떻게 움직였나?


대출 규제로 실수요자는 줄어들겠지만, **갭투자**나 **전세 낀 매수**에 대한 문의는 여전히 높았습니다.
이는 아래 이유 때문입니다.

  • 전세를 안고 사는 경우 실거주 요건 회피 가능
  • 대출 없이 매수 가능한 자산가 층은 여전히 움직임 있음
  • 정부 규제 이전에 신고가 매매 완료 = 시세 상승 신호

일부 투자자는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판단해 **규제지역 진입 전 계약**을 서둘렀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Q&A


Q1. 대출 규제가 모든 지역에 적용되나요?
아니요. 규제지역(서울 전역, 경기 12곳)만 해당되며, 비규제지역은 기존 조건 유지됩니다.


Q2. 갭투자도 막히는 건가요?
LTV와 실거주 요건 때문에 사실상 어려워지지만,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방식은 아직 가능합니다.


Q3. 이게 부동산 하락 신호인가요?
오히려 반대입니다. 실수요자들이 급하게 매입한 건 상승 기대감이 반영된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Q4. 지금 집 사는 건 무리일까요?
자금 계획이 명확하고 실거주 목적이라면 괜찮지만, 투자 목적이라면 규제지역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Q5. 앞으로 어떤 지역이 오를까요?
기존 신고가가 형성된 단지 중심으로 주변 시세도 동반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출 규제, 기회일까 위기일까?


2025년 10·15 대책은 단기적으로 부동산 거래를 위축시킬 수 있지만, “대출이 막히기 전 집을 사두려는 수요”가 집중되며 의외의 신고가 기록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규제 효과가 일시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며, 앞으로 **비규제지역으로의 수요 쏠림**도 예상됩니다.

당분간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본인의 목적(실거주 vs 투자)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이전